Jaeyeol Han (b. 1983) is a Korean painter based between Seoul and Berlin who interrogates the dissolution and reconstitution of identity through what he terms "faces without faces." Beginning with his decade-long series Passersby (2011-2021) focusing on individuals and evolving through Bystanders (2019-present) addressing gatherings, his practice maps the transformation from individual anonymity to collective presence. Han's work emerged from his experience witnessing the 2010 Haiti earthquake's aftermath, which initiated his exploration of how images persist as traces of the disappeared. Since 2016, Han has pioneered the Pigment Bar—self-manufactured solid oil paint sticks that enable direct, unmediated mark-making, collapsing the distinction between painting and sculpture. This material innovation serves his broader philosophical project: examining how contemporary existence oscillates between presence and absence, singularity and multiplicity. Drawing from Goethe's Theory of Colours and contemporary philosophy, particularly the work of Georges Didi-Huberman on images as survival, Han creates chromatic fields where individual dissolution paradoxically generates collective emergence. His paintings operate as what he calls "naratives without naratives"—visual testimonies that refuse narrative closure while maintaining ethical urgency. Positioned within metamodernist aesthetics, Han's work embodies the oscillation between modernist sincerity and postmodern fragmentation, offering a perspective on global conditions of precarity, surveillance, and the impossibility of stable identity in the 21st century.
Solo Exhibitions |
||
2021 |
November |
The Gathering, Bystanders — Gallery BK, Seoul, Republic of Korea |
2016 |
April |
Passersby: The Beneath — National Assembly Member's Office Building, Seoul, Republic of Korea |
2014 |
February |
The Individuals — Artforum Rhee, Bucheon, Republic of Korea |
2013 |
June |
Jaeyeol Han Opens Out — Gallery Gahoedong 60, Seoul, Republic of Korea |
2012 |
September |
Anonymous Passers-by — Gallery 41, Seoul, Republic of Korea |
Selected Group Exhibitions show all |
||
2025 |
October |
Unboxing Project Reading — Newspring Project Gallery, Seoul, Republic of Korea |
June |
48 Stunden Neukölln — Trude, Ruth und Goldammer, Berlin, Germany |
|
April |
Studio Show — Cank, Neukölln, Berlin, Germany |
|
2014 |
November |
Cocoon — KOLON Space K, Seoul, Republic of Korea |
2013 |
September |
Coexistence — Unofficial Preview Gallery, Seoul, Republic of Korea |
Awards |
||
2016 |
September |
Luxembourg Art Prize Finalist, Luxembourg City, Luxembourg |
2015 |
December |
POSCO Art Museum Award Finalist, Seoul, Republic of Korea |
2013 |
March |
Seoul Digital University Art Award for Excellence, Seoul, Republic of Korea |
Residencies |
||
2018–2019 |
June |
Art Center WhiteBlock, Cheonan, Republic of Korea |
2013–2014 |
June |
Stag-Hunt Residency Program, Artforum Rhee, Bucheon, Republic of Korea |
Publication |
||
2014 |
April |
Project Passersby —Jaeyeol Han, PainterPrinter, ISBN 979-11-952578-0-5 |
Selected Press |
||
2021 |
December |
Art Nomade Milan, Valentina Buzzi. Republic of Italy |
2015 |
December |
Art in Culture, Lee Hyun Editor. Republic of Korea |
Materials Development |
||
2016–Present |
Development of Pigment Bar, a solid oil paint medium for sculptural and impasto painting techniques. |
한재열(1983년생)은 서울과 베를린을 오가며 활동하는 한국 화가로, 그가 "얼굴 없는 얼굴들"이라 명명한 것을 통해 정체성의 해체와 재구성을 탐구한다. 10년에 걸쳐 개인을 다룬 연작 지나가는 존재들(Passersby)2011-2021에서 시작하여 군중을 다루는 방관자들(Bystanders)2019-현재로 진화한 그의 작업은 개인의 익명성에서 집단적 현존으로의 변화를 도해한다. 한재열의 작업은 2010년 아이티 지진 참사의 여파를 목도한 경험에서 출발했으며, 이는 사라진 것들의 흔적으로서 이미지가 어떻게 지속되는지에 대한 그의 탐구를 촉발시켰다. 2016년부터 한재열은 피그먼트 바(Pigment Bar)를 선구적으로 개발했는데, 이는 직접적이고 무매개적인 흔적 만들기를 가능케 하는 자가 제작 고체형 유화 물감 막대로서, 회화와 조각 사이의 구분을 붕괴시킨다. 이러한 물질적 혁신은 동시대적 실존이 어떻게 현존과 부재, 단일성과 다수성 사이를 진동하는지를 검토하는 그의 보다 광범위한 철학적 기획에 봉사한다. 괴테의 색채론과 동시대 철학, 특히 이미지를 생존으로서 다루는 조르주 디디-위베르만의 작업에서 영향을 받아, 한재열은 개인의 해체가 역설적으로 집단적 출현을 생성하는 색채적 장(場)들을 창조한다. 그의 회화는 그가 "이야기 없는 이야기들"이라 부르는 것으로 작동한다—서사적 종결을 거부하면서도 윤리적 긴급성을 유지하는 시각적 증언들이다. 메타모더니즘 미학 내에 위치한 한재열의 작업은 모더니즘적 진정성과 포스트모던적 파편화 사이의 진동을 구현하며, 21세기 불안정성, 감시, 그리고 안정적 정체성의 불가능성이라는 전지구적 조건들에 대한 시점을 제공한다.
개인전 |
||
2021 |
11월 |
모임, 방관자들 — 갤러리 BK, 서울, 대한민국 |
2016 |
4월 |
지나가는 존재들 : 그 아래 — 국회의원회관, 서울, 대한민국 |
2014 |
2월 |
개인들 — 아트포럼 리, 부천, 대한민국 |
2013 |
6월 |
개방 — 갤러리 가회동 60, 서울, 대한민국 |
2012 |
9월 |
익명의 지나가는 존재들 — 갤러리 41, 서울, 대한민국 |
그룹전 모두 보기 |
||
2025 |
10월 |
언박싱 프로젝트 리딩 — 뉴스프링 프로젝트 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
6월 |
48시간 노이쾰른 — 트루데, 루트 운트 골다머, 베를린, 독일 |
|
4월 |
스튜디오 쇼 — Cank, 노이쾰른, 베를린, 독일 |
|
2014 |
11월 |
코쿤 — 코오롱 스페이스 K, 서울, 대한민국 |
2013 |
9월 |
공존 — 언오피셜 프리뷰 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
수상 |
||
2016 |
9월 |
룩셈부르크 예술상 파이널리스트, 룩셈부르크시티, 룩셈부르크 |
2015 |
12월 |
포스코 미술관상 파이널리스트, 서울, 대한민국 |
2013 |
3월 |
서울디지털대학교 미술상 우수상, 서울, 대한민국 |
레지던시 |
||
2018–2019 |
6월 |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천안, 대한민국 |
2013–2014 |
6월 |
아트포럼 리, 부천, 대한민국 |
출판 |
||
2014 |
4월 |
프로젝트 행인들 —한재열, PainterPrinter, ISBN 979-11-952578-0-5 |
주요 언론 |
||
2021 |
12월 |
아트 노마드 밀란, 발렌티나 부찌. 이탈리아 |
2015 |
12월 |
아트 인 컬쳐, 이현 편집자. 대한민국 |
재료 연구 |
||
2016–현재 |
피그먼트 바 제작, 두텁고 조각적인 임파스토 기법을 위한 고체 오일 페인트 매체 |